chatGPT 생성 이미지
주택담보대출의 장점
  • 비교적 저렴한 금리

대체로 주택담보대출은 금리가 싸다.
신용대출 같은 일반적인 대출 상품보다 금리가 싼 경우가 많다.
물론 HF나 SGI가 보증하는 전세 대출에 비할바는 아니지만 신용대출보다 금액도 크고 이율도 낮다.
매달 이자를 내야 하는 우리로서는 이 부분으 상당히 큰 메리트가 된다.

  • 세금 혜택

제일 중요한 부분이자 오늘의 포인트…
주택담보대출은 몇가지 요건을 만족하게 되면, 소득 공제를 받을 수 있다.
세액공제가 아닌 소득 공제가 가능한 것이 가장 큰 장점…
본인의 소득이 증가할수록 이 메리트는 더 커진다.
 

  • 주택담보대출 소득공제 요건 (2024년 기준)
공제 대상세대 기준 1주택 보유자 (또는 무주택자)
주택 요건취득 당시 기준시가 6억 원 이하
대출 요건본인 명의, 금융기관에서 주택 취득 목적 대출
상환 요건15년 이상 장기 대출
공제 방식소득공제 (과세표준에서 차감)
소득 제한없음 (소득 상관없이 공제 가능)
공제 한도아래 조건에 따라 달라짐

 

우선은 1 주택이어야 한다. 2주택은 불가하다. 
취득당시 주택의 공시지가가 중요하다. 
 

  • 차입 시기 기준시가 요건 비고
2013.12.31. 이전3억 원 이하국민주택규모(전용 85㎡ 이하) 제한 있음
2014.01.01. ~ 2018.12.31.4억 원 이하주택 규모 제한 없음
2019.01.01. ~ 2023.12.31.5억 원 이하주택 규모 제한 없음
2024.01.01. 이후6억 원 이하주택 규모 제한 없음

 
해당 기준에 맞아야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다. 
지금부터 구매하시는 분이라면 6억이하 주택으로 구매하시면 혜택을 누릴 수 있다. 
과거 구매하신 분이라면 구매 시점의 기준 공시지가를 꼭 확인해야 한다. 
 
그럼 제일 중요한 얼마까지 소득 공제가 되는가?
 

  • 대출 조건에 따른 연간 소득 공제 한도 (2024년 기준)
고정금리 + 비거치식 분할상환1,800만 원
고정금리 또는 비거치식 분할상환1,500만 원
그 외 (변동금리 + 거치식 등)300만 원

 
고정금리, 원리금상환 방식으로 거치기간을 주지 않고 바로 대출을 받으면 1년간 낸 이자 1800만원에 대해서 모두 공제를 받을 수 있다. 
대출 원금으로 계산하면 대략 4% 이자율을 기준으로 대출원금 4.5억 정도 빌리면 낸 이자 모두를 소득 공제 받을 수 있다. 
 
예를 들어, 본인의 소득이 5000만원이라고 가정해보자. 
 

  • 과세표준 구간 세율
0 ~ 1,200만 원6%
1,200만 ~ 4,600만 원15%
4,600만 ~ 8,800만 원24%
8,800만 ~ 1억 5천만 원35%
1억 5천만 ~ 3억 원38%
3억 ~ 5억 원40%
5억 ~ 10억 원42%
10억 원 초과45%

 
위 세율표에 따라서 24%의 세금을 떼게 된다. 
이 때 5000만원의 연봉 중 1800만원은 세금을 메길때 공제를 받게 된다. 
약 432만원의 세금을 돌려받을 수 있다는거다. 
 
즉, 1800만원 중 432만원을 절약할 수 있다는 거다. 
물론 공제 받는 항목이 많거나 소득이 낮을 경우 이 가치는 하락한다. 
하지만 반대로 고소득자의 경우 공제받을 수 있는 항목이 줄고 있으므로 이 금액은 상당히 크게 다가온다. 
 
예를 들어 1억 연봉을 받는 직장인이 있다고 해보자.
1억 이상의 연봉자들은 세액 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항목이 적거나 거의 없다. 
고작 신용카드/대중교통/전통시장/의료비/기부금 정도가 다가 아닐까 싶다. 그것마저도 못 받는게 많다. 
이 사람이 주담대로 받을 수 있는 소득공제 금액을  단순 계산해보면 630만원 가량을 돌려받을 수 있는 거다. 
앞서 든 대출 4.5억을 기준으로 돌려받는 소득공제 금액을 반영할 경우 실질 이자율은 2.6% 수준까지 떨어지게 된다. 
 
따라서 다른 대출보다 주택담보대출을 빌리는게 무조건 유리하다. 
물론 공시지가 6억 이하의 주택에 한해서의 이야기이다. 
 
하지만, 공시지가이므로 실제 호가 기준으로는 약 8~9억 수준의 아파트가 대다수일거다. 
살다보면 대출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. 
 
그럴 경우 주담대부터 고려해보는 건 어떨까?

반응형

+ Recent posts